정부·대학·HD현대, 조선·해양 산업 AI 전환 업무협약 체결

2025-11-21     최지혜 기자
조영철 HD현대 부회장, 금석호 HD현대중공업 사장,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종래 UNIST 총장, 오연천 울산대학교 총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김형관 HD한국조선해양 사장, 정영근 HD현대로보틱스 로봇사업부문장(사진=HD현대)©열린뉴스통신ONA

(서울=열린뉴스통신) 최지혜 기자 = 정부와 산학연 기업이 손을 잡고 국내 조선·해양 산업의 인공지능(AI) 전환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울산과학기술원(UNIST),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HD현대로보틱스, 울산대학교 등 5개 기관은 이날 판교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조선·해양 산업 AI 기술개발 협력’을 위한 협약식을 진행했다.

체결식에는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박동일 산업부 산업정책실장, 박종래 UNIST 총장, 오연천 울산대 총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김형관 HD한국조선해양 대표, 금석호 HD현대중공업 대표, 정영근 HD현대로보틱스 상무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조선·해양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첨단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학·연 협력을 결집하고, AI 기반 산업 전환 속도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5개 기관은 ▲조선·해양 산업 특화 AI 기초모형(파운데이션 모델) 공동 개발 ▲데이터 생태계 구축 및 산업 지식·데이터 기반 경쟁력 강화 ▲전문 인력 양성 ▲지역 산업 생태계 활성화 등 분야에서 협력한다.

체결식에서는 기관별 AI 전환 성과와 향후 전략도 공유됐다. HD현대는 AI 기반 제조 혁신을 통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과 ‘마스가(MASGA)’ 사업 성공을 목표로 하고, UNIST는 부·울·경 초광역권 AI 혁신 거점으로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계획을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R&D) 원활화를 위해 데이터 수집·활용 관련 규제 발굴과 규제 샌드박스 적용 등 지원을 강화하고, 물리적 AI(피지컬 AI)의 데이터 공급망 구축과 기초모형 운영 기반 마련에도 힘쓴다.

또 울산과학기술원을 포함한 지역 과학기술원이 조선·해양 분야 AI 전환과 핵심 인재 양성을 추진할 수 있도록 인프라 첨단화, 우수 교원 확충, 투자 확대 등도 추진한다. 산업부는 용접·도장 등 고숙련 작업자의 노하우를 데이터화해 AI 자동화 공정에 적용하고, 중대형 블록 생산 자동화, 조선소 야드 물류 최적화, 자율 운영 조선소 구현 등 물리적 AI 기술 확보를 ‘M.AX 얼라이언스’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배경훈 장관은 “국내 조선·해양 산업이 직면한 위기와 기회를 극복하고, AI 전환을 촉진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지역 특화 산업을 기반으로 국가균형발전과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앞당기는 대표 사례로 자리 잡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협약은 정부와 산학연이 협력해 조선·해양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AI 전환을 가속화하는 본격적 출발점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