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UAE, 세계 최대 AI 인프라 구축…‘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본격 착수
(서울=열린뉴스통신) 최지혜 기자 = 정부는 이재명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세계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 ‘UAE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 등 양국 간 협력을 전방위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UAE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아부다비에 최대 5GW 규모의 초대형 AI 데이터센터(DC)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2026년 첫 200MW급 AI 클러스터 가동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블랙록·오픈AI·엔비디아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AI 인프라·기술·인재 등 혁신 생태계 역량을 강화해 왔다. ‘아시아의 AI 수도’를 내세운 우리나라는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서 주요 국가와의 전략적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판단, UAE와의 AI·에너지 협력 프로젝트를 첫 사례로 본격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국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와 UAE 아부다비 인공지능·첨단기술위원회(AIATC)는 이번 방문을 계기로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Strategic AI Cooperation Framework)’를 체결하고 포괄적 협력 확대에 합의했다. AI 투자 및 인프라 구축, 공급망 확장, 첨단기술 채택 가속화, 연구개발 등 다양한 분야가 협력 대상이다.
양국은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대형 협력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하기로 했으며, 첫 사업으로 ‘에너지믹스 기반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신속히 착수한다. UAE 내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원전·가스·재생에너지를 결합한 안정적인 전력망을 함께 마련하는 방식이다. 반도체 공급망 협력 확대도 포함된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초기 투자 규모만 30조 원 이상으로 예상되며, 에너지·배터리·친환경 솔루션 등 기후테크 분야뿐 아니라 AI 스타트업,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경험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에게도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양국은 ‘피지컬 AI 기반 항만·물류 프로젝트’도 공동 추진한다. 한국의 완전자동화 터미널 운영 경험과 물류 데이터 기반 피지컬 AI 기술을 접목해 자동화·지능화된 스마트 항만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부산항과 아부다비 칼리파항을 테스트베드로 삼아 실증을 진행하며, 향후 글로벌 항만으로 확산 가능한 모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UAE 인공지능특임장관과 AI 연구기관·기업·전문가 간 교류 확대 및 민간 협력·투자 촉진을 위한 MOU도 체결했다. 이를 통해 UAE의 AI 데이터센터 구축과 산업별 AX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 참여를 적극 지원한다. 지속적인 협력 강화를 위해 양측은 국장급 AI 정책협의체도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UAE의 연합국가 체계를 반영해 아부다비뿐 아니라 두바이 정부까지 참여하는 협력 채널로 확장한 점도 특징이다.
MOU에는 AI 공동 연구, 기업·전문가 교류, AI 규제 샌드박스·인증 관련 정보 공유, UAE AI 데이터센터·AX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 참여 촉진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전략적 AI 협력 프레임워크의 신속한 이행을 위해 국가AI전략위를 중심으로 과기정통부·기후부·해수부·산업부 등 관계부처와 민간 기업이 참여하는 분야별 워킹그룹을 연내 UAE와 공동 구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구체적 이행 방안과 세부 협력 과제 마련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