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엠피엔컴퍼니)황휘-이봉준.(제공=㈜엠피엔컴퍼니)
​(제공=㈜엠피엔컴퍼니)황휘-이봉준.(제공=㈜엠피엔컴퍼니)

(서울=열린뉴스통신) 위수정 기자 = 2009년 한국 초연, 2011년 재연 당시 강렬한 메시지와 파격적인 연출로 큰 화제를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이 10년 만에 삼연으로 돌아왔다.

주원, 조정석, 김무열, 윤현민 등 스타 탄생의 장이었던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은 독일의 표현주의 극작가 '프랑크 베데킨트'의 동명 희곡을 원작으로 사춘기라는 질풍노도의 시기를 격렬한 록 음악과 열정적인 춤으로 표현해낸 작품이다.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은 이제 막 성(性)에 눈뜨기 시작한 청소년들의 방황 그리고 욕망, 이를 억압하려는 기성세대와의 충돌을 강렬한 록 음악과 대담하면서도 시적인 가사로 이루어진 넘버와 뮤지컬의 전통적인 표현을 따르지 않은 파격적인 연출을 통해 선보인다.

최근 서울시 중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멜키어 역의 황휘, 모리츠 역의 이봉준을 만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 보았다.

‘스프링 어웨이크닝’은 황휘의 뮤지컬 첫 데뷔작이고, 이봉준은 음악극 ‘태일’ 이후 두 번째 주연작이라 감회가 새로울 터. 황휘는 “10년 만에 돌아온 화제작이고 저도 오래 기다렸고 기대한 작품이다. 이 작품을 하고 있다는 게 실감 느낀 지가 오래되지 않았다. 연습 때도 ‘이걸 하는 건가?’싶었고 극장에 들어왔을 때도 ‘진짜 올라가는 건가?’싶었다. 저는 여태 학교에서 2, 3일 정도의 짧은 공연만 해봐서 프리뷰 공연 때도 마치 이 기간만 하고 공연이 끝날 것 같았다. 지금은 힘든 시기에 무대에 설 수 있는 것도 감사하고 행복하다”고 웃으며 전했다.

이어 이봉준은 “‘태일’도 그렇고 ‘스프링 어웨이크닝’까지 분량이 있는 역할을 해서 감사했고, 감사한 만큼 부담이 많이 됐다. 저는 작품에서 이 인물이 존재하는 이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주어진 것에 성실히 정성스럽게 임해보자는 생각으로 부담감을 이겨냈고, 모리츠가 하고자 하는 말에 충실하자는 마음으로 임하고 있다”고 담담하게 전했다.

(제공=㈜엠피엔컴퍼니)
(제공=㈜엠피엔컴퍼니)

다음은 황휘, 이봉준과 일문일답이다.

Q. ‘스프링 어웨이크닝’ 공개 오디션이 150:1이었다고 하던데, 오디션 과정에서 생각나는 에피소드가 있나.

봉준 – 개인 오디션으로 보고 워크숍 오디션이 있었는데 현장에서 휘 형의 장발 머리를 보고 테리우스 같다고 생각했다. ‘저 사람, 딱 보인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저랑 휘 형이랑 같이 하는 신이 있었다. 마지막에 모리츠랑 멜키어가 앞으로 나와서 ‘touch me’ 장면을 하는데, 사실 워크숍 오디션을 하면 각자 준비한 거 바쁘고 많이 굳을 수 있는데 제가 하는 대로 너무 잘 해줘서 ‘이 사람은 안 굳어있구나,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다. 처음 보는 테리우스 같은 사람이 떨릴 만도 한데 유연하게 해서 놀랐다.

휘 – 제가 여유가 있었던 게 아니라 내 것을 해야겠다는 마음보다 서로 의지하려고 했다. ‘스프링 어웨이크닝’은 기대했던 작품이고 공개 오디션이라고 하니 망설임 없이 지원했다. 제가 학교 처음 입학했을 때 동기랑 선배들이 워크숍으로 ‘스프링 어웨이크닝’을 공연했을 때 저는 음향 오퍼를 담당했다. 이번 오디션을 지원할 때 배역을 골라야 하는데 저와 비슷한 배역이 멜키어밖에 안 떠오르더라. 될 거라고 생각하고 하지 않았고 저와 비슷한 역이 멜키어밖에 없어서 확신 없이 넣었고, 초반에는 부담 없이 오디션을 봤다. 이때 ‘베어 더 뮤지컬’의 ‘Are you there’를 불렀고 지정곡과 지정 안무가 나왔을 때 제가 춤에 자신이 없다 보니 오디션을 볼 때 편안하게 봤다. 그런데 3차 워크숍 오디션부터는 주위에서 배우들까지 다 지켜보고 있으니 긴장이 되기 시작했다. 이때 최소 듀엣이나 합창신이기 때문에 주위 배우들을 의지하고 가려고 했다.

(제공=㈜엠피엔컴퍼니)
(제공=㈜엠피엔컴퍼니)

Q. 10년 만에 돌아온 ‘스프링 어웨이크닝’은 주원, 조정석, 강하늘 등 걸출한 스타를 배출한 작품이다 보니 시선이 더 집중됐다. 이에 대한 부담감이 있었을 것 같은데 어떻게 극복했나.

봉준 – 오디션에 합격하기 전에는 ‘되고 싶다’는 마음이었고, 모리츠 역이 되고 나서는 ‘사람들이 어떻게 볼까’라는 마음이 들었다. 지난 시즌과 버전은 다르지만 명성 있는 작품이지 않나. 그러다 보니 연습실에서 우리가 만드는 것을 믿고 성실히 이행하려고 했다. 부담도 물론 됐지만 여기에 휘말리게 되면 자신감도 안 생길 것 같고 위축될 것 같아서 우리가 만드는 이야기를 잘 보여주자는 마음으로 똘똘 뭉쳤다.

휘 – 저는 ‘멜키어 해야지!’라는 마음보다 이 시기가 지나면 다시 해볼 수 없으니 후회하지 말자는 생각으로 오디션에 편하게 지원했는데 합격할수록 ‘왜 올라가지?’ 싶었다.(웃음) 멜키어 역이 되고 나서는 행복하고 좋았지만, 프로필 사진을 찍고 인터뷰를 시작하면 사람들에게 공개되고 알려질 테니 걱정도 됐다. 훌륭한 선배들이 했던 작품이라 부담되기보다는 그들이 한 작품이라 행복하고 감사했다. 오히려 선배들을 생각하면 부담이 되고, 관객들의 기대에 부응 해야겠다는 마음이 있으면 부담이 떨쳐지지 않을 것 같아서 멜키어로서 온전히 집중해보자 생각했다. 지금은 ‘내가 과연 멜키어를 잘하고 있는 걸까?’라는 생각이 들어서 제가 아직 부담감 자체를 떨치기에는 역량에서 무리가 있다고 느껴 이 부담감을 안고 어떻게 잘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자는 마음으로 하다 보니 지금은 재밌어졌다.

(제공=㈜엠피엔컴퍼니)
(제공=㈜엠피엔컴퍼니)

Q. 세상의 진리에 끊임없이 고민하고 기성세대에 대해 반항심을 가지며 친구들 사이에서 우상 같은 멜키어와 감수성이 예민하여 신체적 변화에 혼란스럽고 엄격한 아버지와 학업 성적에 대한 압박을 받은 모리츠. 각자의 캐릭터를 연기하며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인가.

봉준 – 모리츠가 아버지에게 찾아가서 낙제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최근에 본 영화 ‘사도’가 떠올랐다. “그저 아들로서 바라봐줬으면 좋겠다”는 내용이 있는데 모리츠로서 공감이 되더라. 아버지에게 낙제에 대해서 고민되는 지점을 이야기했을 때 아버지는 본인이 “밖에 나가서 어떡하냐, 할아버지가 이 모습을 보지 않고 돌아가셔서 다행이다”는 등 말을 하는데 사회가 만들어 놓은 틀을 더 중요시하는 아버지를 보면서 모리츠가 이런 마음이었을까 싶어 도움이 됐다.

휘 – 저는 제가 멜키어랑 비슷하다는 생각은 못 했다. 불의를 볼 때도 정의감은 있지만 주도적으로 해내는 성향은 아니다.

봉준 – 아니다. 제가 휘 형이 정의감에 불타는 모습을 본 적 있다. 연습 때 같이 버스를 타고 간 적이 있는데 후문 쪽에 어린 친구 두 명이 내려야 하는데 내려주지 않고 그냥 가더라. ‘이 친구들 내려야 하는데?’ 싶었는데 휘 형이 생전 들어보지 못한 톤으로 “기사님, 이 친구들 아직 못 내렸어요. 문 열어주세요”라고 말해 정말 멋있었다. 단전에서 올라오는 목소리를 듣고 형에서 모리츠가 맞으려고 하는 찰나에 멜키어가 선생님을 부를 때 제발 이 톤으로 불러 달라고 했다.(웃음)

휘 – 닮은 모습이 있나 봅니다. 지금은 감성이 많이 채워졌는데 예전에는 굉장히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편이었다. 멜키어는 본인이 느껴보지 못한 것을 경험할 때 충동적으로 행동이 따를 뿐 내재되어 있는 점으로는 침착하고 이성적인 사람이다.

(제공=㈜엠피엔컴퍼니)
(제공=㈜엠피엔컴퍼니)

Q. 모리츠가 멜키어의 집을 찾아 고민 상담을 하다가 자신의 마음이 감당되지 않아 갑자기 집에 가버린다. 이때 멜키어로서는 갑자기 가버리는 모리츠가 걱정될 테고, 모리츠는 어떤 마음으로 집을 가버린 것일까.

휘 – 모리츠가 이야기하는 게 잘못되고 외설적인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이야기인데 감수성이 높은 이 친구는 당황스러워한다. “이건 괜찮은 거야, 인간이 느끼기에 자연스럽고 좋은 거야”라고 설명을 하는데 모리츠가 당황하면서 뛰쳐나가니까 잡고 싶었지만 어머니가 들어오셔서 그러질 못했다. 멜키어는 ‘이 친구가 저렇게까지 놀라서 나갈 정도로 큰 충격이구나, 다음에 만나면 어떻게 이야기하고 진정시킬까’라며 모리츠 생각을 많이 했을 것 같다. 이야기상 흐름이 많이 끊어지고 건너뛰고 넘어가는 게 조금 아쉽다.

봉준 – 모리츠를 생각이 많고 이게 망상으로까지 이어지는 친구라고 생각했다. 새벽 3시까지 잠들지 못하고 직접적으로 듣고 봤던 글과 그림이 떠오르면서 내가 궁금했던 지점과 망상까지 한 게 ‘설마 그런 걸 말하는 걸까?’ 등 복잡한 생각을 할 때 멜키어가 직접 이야기를 해준다. 이때 직접적으로 듣는 표현의 벅참이 있고 순식간에 상상이 가서 버거움과 함께 부끄러움이 견딜 수 없어서 자리를 박차고 나간다고 생각한다. 멜키어가 “모리츠, 오해하지 마. 나도 한 번도 경험해본 적 없어. 책을 통해 보고 느낀 것들이야”라고 말할 때 멜키어도 경험해보지 못했다는 것은 앞으로 일어날 일들이 보이는 것 같다.

[다음은 인터뷰②에서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 열린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